본문 바로가기
게임 GAMES

클래시 오브 클랜 공략 해골 돌격병(폭탄) 의 중요성

by 다사도 2014. 8. 6.
반응형


처들어온 적의 병력이 상당히 많은데 털어간 자원은 형편없다

상대의 유닛 랩을 보면 법사를 제외 한 아처와 바바가 모두 만랩이다
거기다 아처퀸까지 왔는데 털어간 자원이 3000 골드가 안된다.
난 3개의 대석궁이 모두 업그레이드 중으로 사용 불가능으로 불리한 상황에서 선방했다

이유는 간단하다 유닛 조합에 해골 돌력병 폭탄과 고블린 도둑이 없다.

폭탄 단 2개면 깰수 있는 성벽인데 일반 유닛으론 성벽깨려다간 몰살 당한다

폭탄은 성벽에 40배의 추가 데미지가 들어간다
폭탄 1개의 데미지가 40 정도면 성벽엔 1600 정도의 대미지를 주는데 보병을 만랩 바바리안 40마리 정도의 위력이다.

그리고 바바리안 만랩의 데미지가 26인데 고블린은 46이다. 
기본 데미지가 높은데다 자원 관련 건물엔 데미지가 3배가 들어간다.
138정도의 데미지가 들어가는데 바바 6배의 속도로 자원을 턴다.
거기다 분노 물약까지 사용하게 되면 도둑 10마리 정도면 1초 대에 만랩 저장고도 박살낼 수 있는 위력이 나온다





성벽 깨려다 병력이 다 몰살 당해 자원을 털 병력이 없다

마지막 사진에 보면 고작 밖에 생선 건물이라도 털어가고자 공격하는데 거기엔 아무것도 없다.

전투에서 래벨도 중요하지만 조합이 가장 중요하다.

1. 조합
2. 콘트롤
3. 물약
4. 클랜 병력

순이다

1. 조합
내가 가장 익숙한 조합이 가장 좋고 가성비도 따져야 한다.
풍선과 미니언 조합은 자신 보다 훨씬 높은 랩도 털수 있고 현재까지 최강의 조합이라 할수 있는데 생산 속도가 너무 느리다.
용은 승리를 장담할 수 있지만 단지 승리만 가능하지 자원까지 털어온다는 보장은 없다.

조합이 아무리 좋아도 그 조합에 쥐약인 성벽이 구축되어 있다면 아무리 털 자원이 많아도 포기하는게 났다


2. 콘트롤
상대가 랩이 낮고 약해 보여도 무작정 밀어 넣으면 멀티 속성 방어탑에 순식간에 쓸린다
되도록 성벽 진입전에는 병력을 넓게 펴바르고 몸빵 유닛을 보내고 뒤에 아처로 지원하거나 폭으로 성벽을 깨는게 유리하다.

공격은 가장 강한 방어탑쪽이나 멀티 공격하는 건물 쪽으로 들어가는게 좋다. 피해가려가 오히려 늦게 파괴해 데미지를 더 받는다
초반에 그쪽으로 길을 여는게 유리하다

3.물약
물약은 유닛 조합에 따라 달라진다.
번개는 60랩 이하일때 가장 무서운 무기지만 들어갈 방향의 모탈은 번개로 깰수 있다.
60랩 이상되면 치료 물약이나 분노로 충분히 깰수 있다
번개는 중반부만 지나도 크게 필요하지 않다

힐은 고급유닛에 별 도움이 안된다 용이나 푸카 같은 유닛에 특화된 방어탑의 데미지를 커버해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이언트 이하 유닛엔 끈질긴 생명력을 준다.
위자드 타워나 모탈의 공격은 충분히 버틴다
인해 전술시 가장 중요한 물약이다.
치료물약 2개 이상을 같은 자리에 사용할수 있다

분노물약은 유닛을 안가리고 아주 효율적인 물약으로 순간적으로 주변을 정리할 수 있다. 상대하기 까다로운 방어건물이나 자원 털기에 좋다
고랩의 멀티 공격 속성이나 집중 포화를 받을때 치료물약과 써주면 최강의 효과를 낸다

자이언트에 치료물약과 분노물약 동시 사용하면 어마어마한 괴물이 나온다 단 효과 범위는 그리 넓지 않고 임페르노에 걸리면 답없다.
임페르노의 타겟이 되면 치료효과는 다 무효다
임페르노와 대석궁 사정권 안에 동시에 들어가면 두가지 방법이 있다.
분노 물약으로 깨버리거나 얼음으로 얼려서 깨버리는 수밖에 없다.

종종 성안쪽에 칸 하나 만들어 놓고 거기에 병력이 들어오면 집중포화로 녹이려는 전술을 사용하는데 분노 물약 떨구고 바바와 바바킹 풀면 안쪽 부터 싸그리 깨부술수 있다.
바바킹, 아처퀸은 멀티 속성 방어탑에 은근히 강하다. 멀티 공격 속성 방어탑의 특징이 데미지가 높지 않아서다.
암튼 안쪽에 틈있으면 완전 쉬운 상대니 과감하게 약물 부터 떨구고 들어가면 쉽게 털수 있다

점프 물약은 지형에 따라 호불호가 크게 갈린다

얼음물약은 임패르노나 대석궁 깰때 좋긴한데 사용 타이밍이 중요하다

4. 클랜병력
갠적으로 클랜 병력은 공격에 잘 사용하지 않는다
주로 마무리에 사용한다

| Style : Background0, Font0, Size22 | Tags : 티스토리 |
반응형

댓글